1. 상완관절의 불안정성 검사(관절순 열상 검사)
1-1. 전방 탈구 불안검사 (Anterior Apprehension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상완관절의 전방 관절낭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선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상완관절을 서서히 외전, 외회전 시킨다.
- 양성 징후 : 환자가 예전에 견관절이 탈구 되었을때와 비슷한 느낌 을 호소하거나 얼굴을 찡그리거나 불안한 표정을 지을 경우 전방 관 절낭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 부가적인 설명 : 치료사는 환자의 견관절을 서서히 외전, 외회전 시킨 후 신전을 더할 수 있다. 이는 전방 관절낭에 스트레스를 더하게 됨으로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을 검사하는 것이다.
- 탈구 불안 검사를 확증하기 위한 방법 : 상완관절을 후방 활주(poste rior glide)시키는데, 이는 전방 탈구 자세가 감소하여 환자의 증상이 감소하거나 불안한 표정이 사라지게 된다.

1-2. 전하방 불안정 검사 (Anterior Inferior Instability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전후방 관절낭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아 팔을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140도 외전 한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자신의 어깨위에 환자의 팔꿈치를 올려 놓고 상완 골두의 상부면을 양손으로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상완관절에 전하방의 압력을 가한다.
- 양성 징후 :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거나 불안한 표정을 지을 경우 전 하방 관절낭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1-3. 후방 불안정 검사 (Posterior Instability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상완관절의 후방 관절낭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고 견관절을 90도 굴곡, 내 전, 약간 외전하고 주관절을 굴곡한 자세를 취한다.
- 치료사의 자세 : 한손은 견갑골이 안정되게 고정하고 다른 손은 주 관절을 감싼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상완관절 후방으로 주관절을 감싼 손으로 압력을 가한다.
- 양성 징후 :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거나 불안한 표정을 지을 경우 후 방 관절낭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

2. 회전근개 열상 / 충돌증후군 검사
2-1. 팔 떨어뜨리기 검사 (Codman's Drop Arm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회전근개 근육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뒤에 서서 전완 상부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팔을 들어 견관절이 90도 외전 되도록한 후 팔을 서서히 내리라고 한다.
- 양성 징후 : 환자가 팔을 부드럽게 내리지 못하거나 팔을 내리는 동안 통증을 호소할 경우 회전근개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

2-2. 굴곡 충돌 검사 (Flexion Impingement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극상근 또는 이두근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를 마주보고 서서 한손은 견갑골의 외연을 잡아 견갑골을 고정하고 다른 손은 전완 상부를 잡는다.
- 적용 : 환자가 견관절을 최대로 굴곡한 후 치료사는 굴곡의 끝 범위에서 견관절을 더 굴곡 시킨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통증이 재현 되는 경우 극상근이나 이두근의 충돌 현상을 예상 할 수 있다.

2-3. 깡통 쏟기 검사 (Empty can Test / Supraspinatus Test )
- 해부학적인 구조물 : 극상근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아 견관절이 외전, 내회전 상태가 되게 팔을 올린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한손은 견갑골을 잡아 견갑골을고정하고 다른 손은 전완 하부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견관절이 내전 되도록 힘을 가하고, 이때 환자는 자세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통증이 재현 되는 경우와 견관절 부분에 보상작용이 일어날 겨우 극상근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2-4. 니얼의 검사 (Neer'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회전근개 근육과 건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를 마주보고 서서 한손은 견갑골의 외연을 잡아 견갑골을고정하고 다른 손은 전완 상부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견관절이 최대로 굴곡, 내회전되도록 팔을 들어 올린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통증이 재현 되는 경우 회전근개 근육과 건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

3. 상완이두근(Biceps Tendon)의 건 검사
3-1. 요가손의 검사 (Yergason'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상완이두근의 건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아 전완을 회내하고 주관절을 90도 굴곡한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앞에 서서 한손은 환자의 손목 잡고 다른 손은 견관절에 놓는다.
- 적용 : 치료사는 전완의 회내, 주관절 신전, 견관절의 내회전 방향의 힘을 환자의 손목에 가한다. 이때 견관절부를 잡은 손의 엄지를 상완이두근구에 놓아 상완이두근의 건이 탈구되는지 촉지한다.

3-2. 상완이두근 건의 신장 검사 (Biceps Tendon Stretch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상완이두근의 건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뒤에 서서 한손은 환자의 손목 잡고 다른 손은 견봉을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주관절이 신전되고 전완이 회내된 상태로 견관절 신전되고 내회전되게 한다 .
- 양성 징후 : 환자의 통증이 재현 되는 경우 상완이두근 건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4. 사각근(Scalen)의 검사
4-1. 애드손 검사/전사각근 검사 (Adson'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중사각근과 전사각근 사이에 있는 쇄골하 동맥과 액와신경총의 하신경간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아 견관절을 중립자세에 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후외측에 서서, 한손은 검사하려는 쪽의 요골동맥(radial pulse) 위에 놓고 다른 손은 반대쪽 어깨를 잡아 체간의 움직임을 제한 한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주관절이 신전된 상태로 견관절을 45도 신전시키면서 외전시키고, 이때 요골맥박의 변화를 촉진한다. 또 치료사는 환자에게 검사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게하고 턱을 들어 고개를 뒤로 젖힌 자세에서 숨을 깊이 들이쉬고 10초간 유지하게 하여 요골맥박의 변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증상이 재현 되는 경우나 맥박 크기의 감소, 감각이상 증가 등은 쇄골하 동맥과 액와신경총의 하신경간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예상 할 수 있다.

4-2. 알렌의 검사/중사각근 검사 (Allen'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중사각근과 전사각근 사이에 있는 쇄골하 동맥과 액와신경총의 하신경간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아 견관절을 중립자세에 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후외측에 서서, 한손은 검사하려는 쪽의 요골동맥(radial pulse) 위에 놓고 다른 손은 반대쪽 어깨를 잡아 체간의 움직임을 제한 한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주관절이 신전된 상태로 견관절을 45도 신전시키면서 외전시키고, 이때 요골맥박의 변화를 촉진한다. 또 치료사는 환자에게 검사하는 반대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게하고 턱을 들어 고개를 뒤로 젖힌 자세에서 숨을 깊이 들이쉬고 10초간 유지하게 하여 요골맥박의 변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증상이 재현 되는 경우나 맥박 크기의 감소, 감각이상 증가 등은 쇄골하 동맥과 액와신경총의 하신경간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예상 할 수 있다.

5. 신경 혈관 검사
5-1. 늑쇄골의 압박 검사 (Costoclavicular Compression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목을 지나 어깨에 이르는 신경 혈관속으로 첫 번째 늑골이 손상을 주지는 않지만 긴장도를 변화시킨다.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후방에 서서, 전완을 환자의 쇄골위에 올려놓고 검사하려는 쪽의 요골동맥을 촉진한다 .
- 적용 : 치료사는 전완으로 환자의 쇄골을 하방향 압력을 가하면서 환자에게 몸을 바르게 펴고 턱을 당기고 척추를 편상태로 숨을 깊이 들이 쉬고 20-30초간 그대로 유지하게 한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증상이 재현 되는 경우나 맥박 크기의 감소나 소멸, 감각이상 증가 등은 신경 혈관속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예상 할 수 있다.

6. 견쇄관절의 병리적 검사
6-1. 수평내전 검사 (Horizontal Adduction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견쇄관절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후방에 서서, 환자의 반대쪽 팔꿈치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반대쪽 팔꿈치를 잡고 수평내전시키거나 견관절을 내회전 시키면서 수평내전시킨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견관절을 수평내전만한 경우에 견봉쇄골 관절부에 통증이 재현 되면 견봉쇄골 관절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또 환자의 견관절을 내회전시키면서 수평내전시킨 경우에 견관절의 전방에 통증이 있으면 상완 이두근의 장두(long head of biceps)가 충돌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