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관절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합니다
  • 물리치료과 QRCODE - 시나리오 페이지 바로가기 (http://slpt.sunlin.ac.kr/slpt/ba5k4f@)

시나리오

당신은 선린대학병원 물리치료실에 15년차 근무하는 물리치료 실장입니다.

10일전 본 대학병원 OS에서 Lt. total hip replacement(THR) revision OP를 시행한 환자의 보행을 위해 물리치료 의뢰를 받았습니다. 당시이 환자의 담당 물리치료사입니다..

  • 당신 : 보호자분과 같이 오셨네요?
  • 환자 : 네
  • 당신 : 전 OOO을 치료할 물리치료 실장 ***입니다.
  • 환자 : 네. 아 아프고 걷도록 해주세요.
  • 당신 : 잘 알겠습니다. 제가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당신은 환자의 병력을 청취하려고 하고 있다.

아래의 문제들을 생각해보자
  • 1. 당신은 어떠한 질문을 통해 정보를 얻을 것인가?
  • 2. 병력을 청취한 후 그것을 어떻게 해석 할 것인가?
  • 3. 신체검사는 어떤 순서로 무엇을 할 것인가?
  • 4. 그럼 그 결과에 따라 어떻게 치료 계획을 세울 것인가?
  • 등록번호 JH - 2007 -0204
  • 성 명 000
  • 주민번호 410815-19*****
Chief Complaints

67세 남자 환자는 2개월 전 과수원 일을 도와주고 난 후 좌측 고관절 통증 때문에 서거나 걷는 것이 불편함.

P/I

상기 환자는 46년 전부터 고관절 통증이 있었으며, 12년전 Lt. total hip replacement(THR)을 받은 분으로 2년 전부터 통증으로 인해 물리치료를 받았지만 통증이 지속되었고, 본원 OS 외래에서 방사선 촬영하여 Lt. THR loosening 소견으로 revision O.P. 위해 입원하여 O.P.이후 재활위해 물리치료실로 의뢰됨

PMHx
  • HTN / DM / pul. Tbc / Hepatitis: + / + / - / -
  • 고혈압과 당뇨는 30년전 진단받고 경구투약 중 (+)
  • previous O.P. Hx: 1996년 Lt. THR
Physical Examination
Musculoskeletal
  • PROM: Lt. hip
    • pre OP : flexion 70°
    • extension 0°
    • abduction 30°
    • adduction 20°
    • internal rotation 20°
    • external rotation 40°
    • post OP : not test
  • MMT: 치료초기 수술직후라 근수축으로 인해 수술부위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근력검사를 수행하지 않음
Neuromuscular
  • Sensory
    • Lt. hip 주변의 light touch는 전반적으로 저하
    • 고관절의 proprioception : 감소
    • 슬관절 부터는 정상수술 절개부위와 주변의 light touch : 감소
Integument
  • 수술부위의 감염은 없음
  • 피부에는 약간의 열감과 부종이 남아 있음
Function
  • Gait
    • 양쪽 액와목발을 이용한 보행이 가능
    • 체중지지는 참을 수 있는 만큼 하라고 교육되어 있음
    • 환자는 자신 체중의 50% 정도를 우측 하지로 감당
Goals
  • Short term goal: (walker 또는 parallel bars)
    • 2주내 : 보행보조 장비를 이용한 부분적 체중지지
    • 4주내 : 보행보조 장비를 이용한 체중지지
  • Long therm Goal:
    • 독립 보행
  • Prognosis
    • 재수술을 받았기 때문에 과도하게 관절에 부담이 가는 동작이나 움직임은 주의 / 낙상주의
    • 점진적인 체중부하와 동적인 안정성을 강화해 준다면 일상적인 보행정도는 가능할 것이다.
  • Plan of Care
    • 통증을 조절하면서 관절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균형 능력을 높이기 위한 운동 시행
    • 일상 생활동작에서 인공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자세 교육, 생활 습관 재교육
Intervention
  • 치료 초기에는 관절의 정적인 안정을 위한 고정과 등척성 운동을 한다.
  • 필요하다면 통증을 완화시키기위한 목적으로 TENS, 저강도의 초음파, 온열치료를 할 수도 있다.
  • 통증이 사라지고 수술부위가 안정이 되면 점차적으로 중력과 체중을 이용하여 가동성과 근력, 지구력, 신경근 협응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을 실시한다.
  • 고관절 굴곡 구축을 예방하기위한 스트레칭을 실시하고, 고관절 외전근과 신전근 강화에 집중하여 운동을 실시한다.
  • 점차적으로 수술부위가 안정이 되면 평행봉과 보행기를 이용하여 부분적인 체중지지부터 시작하여 보조의 양을 점차적으로 줄여주면서 완전한 체중지지 상태에서 이끌어 간다.
  • 닫힌 사슬 운동을 적용하여 정적 안정성을 강화하며, 치료용 밴드를 이용하여 동적 안정성 강화를 위한 운동도 실시할 수 있다.
  • 낙상 예방과 균형 증진을 위한 균형훈련과 보행 훈련도 실시해야 한다.
  • 수술 전 고관절 X-선 수술 전 고관절 X-선 사진
  • 고관절 치환술 후 X-선 고관절 치환술 후 X-선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