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견관절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합니다
  • 물리치료과 QRCODE - 수동운동평가 페이지 바로가기 (http://slpt.sunlin.ac.kr/slpt/gotpom@)

수동운동 평가

1. 상완골의 수동 운동 검사
  1. 치료사의 위치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관절 각도계나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
    • 환자의 좌우 움직임 및 평균 관절 가동 범위와 비교
    • 능동 운동평가에서 문제가 있는 동작 만 시행
  2. 평가 내용
    • 관절의 가동범위
    • 끝 느낌(end feel)
  3. 평가 움직임
    • 굴곡/신전
    • 외전/내전
    • 수평 외전/내전
    • 외회전/내회전
    • 복합 운동(굴곡, 외전, 내외회전이 결합한 움직임)
견관절의 수동 복합 검사견관절의 수동 복합 검사
관절 각도계를 이용한 측정
관절 각도계를 이용한 측정 정보를 제공하며 움직임, 정상 관절 가동 범위, 고정된 팔(Stationary arm), 축(Axis), 움직이는 팔(Moving arm) 항목으로 구성된 표
움직임 정상 관절 가동 범위 고정된 팔 (Stationary arm) 축 (Axis) 움직이는 팔 (Moving arm)
굴곡 0~180 체간의 액와 중앙선 견봉 상완골의 중심선
신전 0~50 체간의 액와 중앙선 견봉 상완골의 중심선
외전 0~180 체간의 액와 중앙선 견봉 상완골의 중심선
내전 0 체간의 액와 중앙선 견봉 상완골의 중심선
수평 외전 0~30 경부 방향선 견봉 상완골의 중심선
수평 내전 0~120 경부 방향선 견봉 상완골의 중심선
외회전 0~90 지면과 수직 주두 척골의 경사 돌기
내회전 0~90 지면과 수직 주두 척골의 경사 돌기
2. 견갑골의 수동 운동 평가
  1. 치료사의 위치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관절 각도계나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
    • 환자의 좌우 움직임 및 평균 관절 가동 범위와 비교
    • 능동 운동평가에서 문제가 있는 동작만 시행
  2. 평가 내용
    • 관절의 가동범위
    • 끝 느낌(end feel)
  3. 평가 움직임
    • 거상/하강
    • 전인(외전)/후인(내전)
    • 상방회전/하방회전
관절 각도계를 이용한 측정
관절 각도계를 이용한 측정 정보를 제공하며 움직임, 가동범위, 고정된팔, 축, 움직이는팔 항목으로 구성된 표
움직임 가동 범위 고정된 팔 움직이는 팔
거상 0~20 견봉을 연결한 선 흉골 흉골에서 견봉
하강 0~10 견봉을 연결한 선 흉골 흉골에서 견봉
전인(외전) 0~20 견봉을 연결하는 선 두정 두정에서 견봉
후인(내전) 0~20 견봉을 연결하는 선 두정 두정에서 견봉
줄자를 이용한 측정
줄자를 이용한 측정정보를 제공하며 움직임, 시작, 끝, 고정, 주의 항목으로 구성된 표
움직임 시작 고정 주의
전인(외전) 흉추 3번 극돌기 견갑극 체간 견관절, 체간 회전 X
후인(내전) 흉추 3번 극돌기 견갑극 체간
상방 회전 흉추 7번 극돌기 하각 흉곽 견갑골의 기울 X
하방 회전 흉추 7번 극돌기 하각 흉곽 견갑골의 내전 X
  • 견갑골의 수동 거상 검사견갑골의 수동 거상 검사
  • 견갑골의 수동 하강 검사견갑골의 수동 하강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