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의 책 '수난이대'
- 날짜
- 2006.11.27
- 조회수
- 145
- 정우용
- 분류 : 김재헌교수님
'수난이대'는 하근찬 선생의 단편이다.
아버지는 일제점령기에 징용에 끌려가 팔을 잃고 돌아오고, 장애인으로서 불편과 억울함을 감수하며 살아가는데 한국전쟁이 터지고,아들이 군대에 가게 되는데 시간이 지난 후 아들이 제대해서 돌아온다고 해서 마중을 나가 보니 아들은 다리를 잃고 돌아온다.
자신의 장애도 억울한데 아들까지 그런 모습으로 돌아오자 아버지는 아들에게 괜히 역정을 내고 아들도 아버지에게 대들면서 부자간에 다투게 된다.
이 부분이 구성단계상 절정이며, 순박하고 평화롭게 살았어야 할 아버지와 아들이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시대상황에 휘말려 희생당한 현실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는 과정이다.
하지만 부자는 서로에 대한 애정으로 그 갈등을 해소하고 불편한 신체이지만 서로 의지하며 살아갈 것이라는 결말이 아버지가 아들을 업고 시내를 건너는 장면으로 표현된다.
아버지는 일제점령기에 징용에 끌려가 팔을 잃고 돌아오고, 장애인으로서 불편과 억울함을 감수하며 살아가는데 한국전쟁이 터지고,아들이 군대에 가게 되는데 시간이 지난 후 아들이 제대해서 돌아온다고 해서 마중을 나가 보니 아들은 다리를 잃고 돌아온다.
자신의 장애도 억울한데 아들까지 그런 모습으로 돌아오자 아버지는 아들에게 괜히 역정을 내고 아들도 아버지에게 대들면서 부자간에 다투게 된다.
이 부분이 구성단계상 절정이며, 순박하고 평화롭게 살았어야 할 아버지와 아들이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시대상황에 휘말려 희생당한 현실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는 과정이다.
하지만 부자는 서로에 대한 애정으로 그 갈등을 해소하고 불편한 신체이지만 서로 의지하며 살아갈 것이라는 결말이 아버지가 아들을 업고 시내를 건너는 장면으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