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검사
1. 엘리의 검사 (Ely's Test/Prone Knee Bend)
- 기법 : 근력 검사 기법
-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사의 양손위에 자신의 양손을 올리고 먼저 아프지 않는 발로 한발 서기를 한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양손을 잡아주나 환자의 체중을 받쳐 주어서는 안된다.
- 적용 : 환자는 뒷꿈치를 들어올리면서 발가락 끝으로 서기를 수회반복한다.
- 양성 징후 : 체간을 앞으로 숙이거나 슬관절을 굴곡하면 근약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 부가적인 설명 : 아프지 않는 발로 한발서기를 하여 검사하고, 아픈발로 한발 서기를하여 검사한다. 발끝을 들어올린 동작은 6회정도로 약간 근력이 떨어지는 느낌이 있을 정도의 회수로 검사한다. 움직임의 질적인면과 가동 범위를 검사하는 것으로 종아리 근육과 S1/S2의 문제를 평가 할 수 있다.

엘리의 검사
2. 하지 신전 거상 검사/라세그의 검사 (Straight Leg Raising Test/Laseque'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슬괵근(hamstring muscle), 좌골 신경 (sciatic nerve), 요추 관절, 천장 관절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대퇴부 옆에 환자의 얼굴쪽을 보며 서서 한손으로 환자의 발목을 잡고 다른 한손은 슬관절 전외측부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슬관절이 신전된 상태로 고관절이 약간 내전, 내회전되게 하면서 하지를 거상 한다.
- 양성 징후 : 통증이 하지로 방사되면서 하지 거상에 제한이있는 경우 척추내 문제와 척추외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척추내 문제는 디스크의 문제와 비디스크 문제(종양, 신경종)로 나뉘고, 척추외 문제는 천장관절, 엉덩이나 고관절의 문제, 슬괵근의 길이와 비조직적 문제(nonorganic disorder)등이 있다.
- 부가적 설명 : 하지 거상 검사시 나타나는 6가지 반응이 있다.
- 첫째 : 통증없이 전범위 거상이 가능한 경우는 디스크의 팽윤이 없는 상태로 아주 작은 조직이 신경 조직을 자극하나 움직임에는 문제를 만들지 않는 경우이다.
- 둘째 : 통증은 있으나 전범위 거상이 가능한 경우로 아주적은 디스크의 팽윤을 예상 할 수 있다.
- 셋째 : 통증호(painful arc)를 그리는 경우로 적은 팽윤을 시사하는 것으로 신경근이 돌출부 위로 미끌어짐을 의미 한다.
- 넷째 : 통증과 신경학적인 결손이 없는 제한을 보이는 경우로 디스크의 팽윤이 크고, 상천추 신경근이나 하요추 신경근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을 의미한다.
- 다섯째: 통증과 신경학적인 결손을 동반하는 제한을 보이는 경우로 아주 큰 디스크의 후외측 돌출로 신경근을 누르고 있는상태로 신경의 움직임과 신경 전도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이다.
- 여섯째 : 통증없이 신경학적 결손을 보이며 전범위 거상이 가능한 경우로 아주 큰 디스크의 후외측 돌출로 최대로 신경근이 압박당한 상태로 허혈성이 되거나 위축된 것을 의미한다.

하지 신전 거상 검사
3. 라세그의 구별 검사 (Laseque's Differential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좌골 신경 (sciatic nerve), 고관절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대퇴부 옆에 환자의 얼굴쪽을 보며 서서 한손으로 환자의 발목을 잡고 다른 한손은 슬관절 전외측부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슬관절이 신전된 상태로 고관절이 약간 내전, 내회전되게 하면서 통증이 있는 지점까지 굴곡시킨다. 고관절의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슬관절을 약간 굴곡시킨다. 이번에는 슬관절의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고관절을 더 굴곡시킨다.
- 양성 징후 : 요통이나 통증이 슬관절을 굴곡시킴으로 감소하면 좌골 신경의 문제이지 고관절의 문제는 아님을 예상 할 수 있다.

라세그의 구별 검사
4. 브라가드의 검사 (Braggard'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좌골 신경 (sciatic nerve)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대퇴부 옆에 환자의 얼굴쪽을 보며 서서 한손으로 환자의 발목을 잡고 다른 한손은 슬관절 전외측부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슬관절이 신전된 상태로 고관절이 약간 내전, 내회전되게 하면서 통증이 있는 지점까지 굴곡시킨다. 이지점에서 고관절의 굴곡을 5도 정도 줄여주어 증상을 줄인 상태에서 슬관절 전외측부를 잡고 있던 손을 발쪽으로 옮겨 잡고 환자의 족관절을 배굴시킨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족관절을 배굴시키면 좌골신경의 자극이 증가함으로 대퇴 후면의 통증이 줄어드는 경우 비복근이 긴장되어 있음을 의심 할 수 있다. 종아리 부분에 불쾌감이 있는 경우 혈전 정맥염(thrombophlebitis)를 의심 할 수 있다. 환자의 족관절을 배굴시키면 척수의 경막이 스트레치되어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좌골 신경의 문제를 의심할 수 있다.

브라가드의 검사
5. 굴곡 징후 (Buckling Sign)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좌골 신경(sciatic nerve)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대퇴부 옆에 환자의 얼굴쪽을 보며 서서 한손으로 환자의 발목을 잡고 다른 한손은 슬관절 외측부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슬관절이 신전된 상태로 고관절이 약간 내전, 내회전되게 하면서 90도 까지 굴곡시킨다. 이때 환자는 좌골 신경의 긴장도증가를 줄이기 위해 슬관절릉 굴곡하려 할 것이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하지를 30-70도 거상 하였을 때 슬관절이 굴곡되는 경우 좌골 신경의 긴장 상태를 예상 할 수 있다.

굴곡 징후 검사
6. 본넷의 징후 (Bonnet's Sign)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이상근(piriformis)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대퇴부 옆에 환자의 얼굴쪽을 보며 서서 한손으로 환자의 발목을 잡고 다른 한손은 슬관절 전외측부를 잡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슬관절이 신전된 상태로 고관절을 굴곡하면서 신체의 정중선을 넘어서는 내전과 내회전이 일어나도록 만든다.
- 양성 징후 : 방사통이 발생할 때 이상근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하지를 신체의 정중선을 넘어서 내전과 내회전을 시키면서 거상하면 환자의 이상근의 긴장도가 증가하여 좌골 신경이 이상근에 의해 잡힘(piriformis entrapment)으로 방사통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넷의 징후 검사
7. 밀그람의 검사 (Milgram'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요추와 복부 근육의 안정성, 디스크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대퇴부 옆에 환자의 얼굴쪽을 보고 선다.
- 적용 : 환자는 슬관절을 신전한 상태로 양하지를 치료대에서 5-10cm 높이까지 거상한다. 양하지를 거상한 상태로 30초간 유지 한다.
- 양성 징후 : 환자가 양하지를 거상한 상태로 30초간 유지 못하거나, 환측으로 방사통이 재현되는 경우 요추와 복부 근육의 불안정성이나 디스크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밀그람의 검사
8. 비보의 징후 (Beevor's Sign)
- 해부학적인 구조물 : 복부 근육의 안정성, 디스크
-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양팔을 교차한 자세로 치료대 가장자리에 복부를 노출하고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환자의 얼굴쪽을 보고 선다.
- 적용 : 환자는 스스로 1/2정도로 윗몸 일으키기(sit up)를 한다. 치료사는 복근이 수축하였을 때 배꼽이 정위치에서 이동하는지 관찰한다.
- 양성 징후 : 환자의 배꼽이 정중선에서 벗어나는 경우 복부 근육에 문제나 하부 흉추에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비보의 징후
9. 겐슬렌의 징후 (Gaenslen's Sign)
- 해부학적인 구조물 : 동측 천장 관절(ipsilateral sacroiliac joint), 고관절, L4 신경근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고관절이 과신전되는 옆에 선다.
- 적용 : 환자는 양 하지를 굴곡하여 슬관절이 가슴에 닿도록(knee tot chest) 한다. 한쪽 하지를 신전하면서 치료대 밖으로 내려 고관절을 과신전 되게하면서 반대쪽 하지는 굴곡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때 치료사는 한손으로 신전한 하지쪽의 골반을 안정되게 잡고 다른 손은 굴곡한 슬관절을 잡아 압력을 가한다.
- 양성 징후 : 고관절을 과신전한 쪽의 천장 관절에 통증이 있을 경우 천장관절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겐슬렌의 징후 검사
10. 페트릭의 검사 / 페벨의 검사 (Patrick's Test / Faber'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천장 관절(sacroiliac joint), 장요근(iliopsoas)이나 고관절 내전근의 경련(spasm), 고관절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선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외과(lateral malleolus)를 반대 하지의 슬관절위에 올려 놓고 고관절이 외전 되도록 슬관절을 치료대 가까이 내려놓는다. 이때 반대 상전장골(ASIS)를 잡아 골반을 고정하고 슬관절이 치료대 가까이 가도록 하방 압력을 가한다.
- 양성 징후 : 천장 관절에 통증이 있을 경우나 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있을 경우 천장관절의 문제, 장요근 고관절 내전근의 경련, 또는 고관절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페트릭의 검사
11. 나이프짜이거의 검사 (Naffziger's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척수 내압의 증가 (디스크, 종양, 뼈와 같은 조직이 추공을 점유하여 척수가 압박 당한 상태)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머리쪽에 선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양쪽 경정맥(jugular veins)을 약 10초간 압박한다. 양 경정맥을 압막한 상태로 환자에게 기침을 하라고 한다(그림 1). 또 다른 방법으로 혈압계의 커프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40mHg의 공기를 주입하고 10-15초간 유지하는 방법이다(그림 2).
- 양성 징후 : 환자가 기침할 때 요통이 발생하는 경우 척수가 압박되어 척수 내압이 증가되었음을 예상 할 수 있다.

나이프짜이거의 검사
12. 발사바 검사 (Valsalva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척수 내압의 증가 (디스크, 종양, 뼈와 같은 조직이 추공을 점유하여 척수가 압박 당한 상태)
- 환자의 자세 : 체간을 곧게 편 상태로 발이 바닥에 닿도록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뒤에 선다.
- 적용 : 환자는 숨을 깊이 들이 쉬고 그대로 유지한 다음 아랫배에 힘을 준다.
- 양성 징후 : 경부나 요부 통증, 또는 상하지로의 방사통이 있을 경우 척수 내압이 증가되었음을 예상 할 수 있다.

발사바의 검사
13. 슬럼프 검사 (Slump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신경의 긴장도 검사(nerve tensioning test)
- 환자의 자세 : 체간을 곧게 편 상태로 발이 바닥에 닿도록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검사를 시행한다.
- 적용 : 다음의 순서대로 자세를 변화 시킨다.
- A. 환자는 머리와 요추를 중립자세(neutral position)에 둔 상태로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B. 환자는 머리를 중립자세로 유지하면서 체간을 굴곡한다.
- C. 치료사는 환자의 머리부를 잡고 굴곡시킨다.
- D. 환자는 머리와 체간을 굴곡한 상태에서 한쪽 하지의 슬관절을 서서히 신전한다.
- E. 슬관절을 신전한 상태로 족관절을 배굴(dorsiflexion) 시킨다.
- F. 굴곡자세의 머리를 서서히 신전시킨다.
- G. 같은 순서대로 반대쪽 하지도 시행한다. 이때 좌우의 통증 발현이나 관절가동범위를 비교한다.
- H. 양하지의 슬관절을 동시에 신전하고 족관절을 배굴하고, 굴곡한 머리를 서서히 신전시킨다.
각 단계에서 관절가동범위와 증상의 변화를 검사하고, 각 단계의 끝에 과 압력(overpresure)을 가한뒤 재평가하기도 한다.
- 양성 징후 : 각 단계에서 증상이 재현되거나 증가하는 경우 신경의 긴장도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슬럼프 검사 1단계
슬럼프 검사 2단계
슬럼프 검사 3단계
슬럼프 검사 4단계
슬럼프 검사 5단계
슬럼프 검사 6단계
슬럼프 검사 7단계
슬럼프 검사 8단계
14. 페트린-플립 검사 (Petrin-Flip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좌골 신경의 압박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앞쪽에 반무릎 자세로 앉는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한쪽 하지의 슬관절을 신전한다(그림 1). 환자의 양 하지 슬관절 모두를 신전 한다(그림 2).
- 양성 징후 : 환자의 하지에 통증이 발생하고 체간에 긴장도를 줄이기 위하여 체간을 뒤로 젖히는 경우 좌골 신경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만약 하지 신전 거상 검사에 양성 징후를 보였다면 이 검사에서도 양성 징후가 나타나야 한다. 만약 두가지 검사 모두에 양성 징후가 나오지 않으면 꾀병일 가능성이 높다. 고관절 신전근의 길이가 짧은 경우 대퇴 후방부의 스트레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페트린-플립 검사 1
페트린-플립 검사 2
15. 소리 굽쇠 검사 (Tuning Fork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L5, S1의 신경근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앞쪽에 반무릎 자세로 앉는다.
- 적용 : 치료사는 128c/s의 소리 굽쇠를 이용하여 뼈의 돌출부에 놓는다.
- 양성 징후 : 환자 경골의 내과에서 진동감각이 줄어드는 경우 L5 신경근의 문제를, 경골의 외과에서 진동 감각이 줄어드는 경우 S1 신경근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16. 소리 굽쇠 검사 (Tuning Fork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L5, S1의 신경근
- 해부학적인 구조물 : 골절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뒤에 반무릎 자세로 앉는다.
- 적용 : 치료사는 128c/s의 튜닝 포커를 이용하여 극돌기 돌출부에 놓는다.
- 양성 징후 : 돌출된 뼈의 예리한 통증이 증가하는 경우 돌출된 뼈 골절을 예상 할 수 있다.
17. 바빈스키 검사 (Babinski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상운동 신경원(upper motor neuron)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거나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앞에 반무릎 자세로 앉거나 환자의 발 가까이에 선다.
- 적용 : 환자의 발뒷꿈치 외측면에서 시작하여 발바닥의 외측면을 따라 엄지 발가락 방향으로 앞이 무딘 기구를 이용하여 긁어 준다.
- 양성 징후 : 발가락이 저굴(plantar flexion)되는 경우 정상적인 반응이다. 엄지발가락이 배굴(dorsiflexion)되고 나머지 발가락이 펼쳐진 상태로 있는 경우 상운동 신경원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단 몇 주가 지난 소아에서는 정상적인 반응이다.
17. 바빈스키 검사 (Babinski Test)
- 해부학적인 구조물 : 상운동 신경원(upper motor neuron)
- 환자의 자세 :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거나 바로 눕는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앞에 반무릎 자세로 앉거나 환자의 발 가까이에 선다.
- 적용 : 환자의 발뒷꿈치 외측면에서 시작하여 발바닥의 외측면을 따라 엄지 발가락 방향으로 앞이 무딘 기구를 이용하여 긁어 준다.
- 양성 징후 : 발가락이 저굴(plantar flexion)되는 경우 정상적인 반응이다. 엄지발가락이 배굴(dorsiflexion)되고 나머지 발가락이 펼쳐진 상태로 있는 경우 상운동 신경원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단 몇 주가 지난 소아에서는 정상적인 반응이다.

바빈스키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