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추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합니다
  • 물리치료과 QRCODE - 관찰 페이지 바로가기 (http://slpt.sunlin.ac.kr/slpt/a1rvqb@)

1. 자세 평가(Posture)

1) 자세 평가 전 준비
  • 미부(caudal)에서 두부(cranial)로 검사
  • 주가 되는 눈을 찾는다(dominant eye check).
  • 명암이 동일하도록 조명이 일정하고 좌우 동일하게 비추어야 한다(light direction).
  • 발을 3-4inch정도 11자 형태로 벌리고 선다. 슬관절은 완전 신전하고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set position).
2) 측면(Lateral) 평가
  • 척추의 전만, 척추의 후만 등이 있는가?
  •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정렬(lateral malleolus)이 바른가?
바로 선 자세 측면 평가

바로 선 자세 측면 평가

3) 후면 (Posterior) 평가
  • 체중부하가 좌우 균등하게 되어있는가?
  • 발의 내궁(medial arch)의 모양이 어떻한가?
  • 슬와부 주름(popliteal fold), 둔부 주름(gluteal fold), 대퇴골 대전자(greater trochanters), 후상장골극(PSIS), 장골능(iliac creast) 등의 높이가 동일한가? : 다리 길이의 차이가 의심되면 앉은 자세에서의 골반 높이를 비교 한다.
  • 팔과 허리가 만드는 각도와 거리를 비교한다.
  • 체간에 좌우 비대칭이 있는가? (척추측만증, 근육의 크기, 긴장도, 근 위축 등)
  • 견갑골의 위치(elevated, rotated, abducted, winged)가 바르거나 좌우 동일한가?
  • 견관절의 위치(elevated, forward)가 바르거나 좌우 동일한가?
  • 머리의 위치(mid line, rotated, sidebended)가 바르거나 좌우 동일한가?
바로 선 자세 후면 평가

바로 선 자세 후면 평가

4) 전면(Anterior) 평가
  • 엄지 발가락의 모양과 발과 이루는 각도가 좌우 동일한가?
  • 발의 변위(varus,valgus)가 있는가? 종골의 높이와 각도는 어떻한가?
  • 경골의 내과(medial malleolus)의 높이가 좌우 동일 한가?
  • 대퇴사두근 각이 좌우 동일한가?
  • 하지의 정렬은 좌우 동일한가?
  • 전상장골극(ASIS)의 높이가 동일한가?
  •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의 정렬이 바른가?
  • 배꼽(umbilicus)의 위치(up and down, left and right)가 바른가
  • 복근의 긴장도는 어떤가?
  • 흉곽(rib cage)의 모양이나 용적이 좌우 동일한가? 호흡시 흉곽의 팽창과 수축이 좌우 동일한가?
  • 유두와 흉골, 쇄골의 높이와 위치가 좌우 동일한가?
  • 어깨의 높이와 삼각근(deltoid), 흉근의 굵기 등이 좌우 동일한가?
  • 척추의 전만, 척추의 후만 등이 있는가?
  • 경추가 중심선상(mid line)에 있는가?
  • 머리의 위치(좌우 변위)가 바른가?
  • 눈의 크기와 높이, 상악골의 크기, 귀의 높이 등이 좌우 동일한가?
바로 선 자세 후면 평가

바로 선 자세 전면 평가

5) 정적인 자세 (Static Posture) 평가
  • 일정한 체위로 께속 유지하고 정렬하는 자세로 서기(standing), 반무릎 서기(kneeling), 눕기(lying), 앉기(sitting) 등이 있다.
6) 동적인 자세 (Dynamic Posture) 평가
  • 신체 또는 그분절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로 걷기(walking), 달리기(running), 점프(jumping),던지기(throwing) 등이 있다.
7) 자세 조절 (Posture Control)
  • 정의 : 인체의 구조적 평형을 방해하는 힘에 대한 반응으로 인체와 그 분절들을 유지하는 인가의 능력이다.
  • 체위의 조절이나 유지는 CNS, 시각계, 전정계, 관절, 건, 인대의 주변과 그 안에 있는 접수기로부터 접수되는 정보의 통합에 달려 있다.
  • 정적인 자세 조절 :중력에 대항하여 특정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 동적인 자세 조절 : 인체 또는 그 분절이 움직이는 동안 안정을 유지하는 것과 BOS의 변화에도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8) 외적인 힘과 내적인 힘 (External and Internal Force)
  • 외적인 힘 :중력 (gravity), 지면 반발력(ground reaction force) 등이 있다.
  • 내적인 힘 :근육의 활동(muscle activity), 인대의 수동적인 긴장도(passive tension in ligament), 건(tendon), 관절낭(joint capsule), 다른 연부조직(other soft tissue) 등이 있다.

2. 신체의의 중력중심선(Line og gravity)

1) 전-후면(anterior-posterior view)에서의 정렬
  • 인체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선이다.
  • LOG는 추체의 중앙을 횡단한다.
  • 자세의 정렬이 최적일 때 내외측의 안정성을 위한 근육 수축은 거의 없거나 전혀없는 상태이다.
2) 외측면(later view)에서의 정렬
  1. 족관절(ankle)
    • 족관절은 중립 자세나 배굴과 저굴의 중간 자세 이다.
    • LOG는 외과(lateral malleous)의 약간 앞을 통과 한다.
    • 배굴 모멘트(dorsiflexion moment)가 발생한다.
    • 가자미근(soleus)와 비복근(gastrocnemius)이 활동 한다.
  2. 슬관절(knee)
    • 슬관절은 완전 신전(full extension) 상태이다.
    • LOG는 슬관절의 중심 축보다 앞쪽으로 지나간다.
    • 신전 모멘트(extension moment)가 발생한다.
    • 슬관절 후방의 관절낭(capsule)과 인대(ligament)가 결합된 수동 긴장(passive tension)은 중력의 모멘트(gravitational moment)와 과신전(hyperextension)을 예방 한다.
    • 근육의 수축이 조금 있거나 전혀 없는 상태이다.
  3. 고관절과 골반(hip and pelvis)
    • 치골결합(symphysis pubis)선은 양 ASIS를 연결한 선을 수직 이등분한다.
    • ASIS와 PSIS는 수평을 이룬다.
    • LOG는 고관절의 약간 후방을 통과하여 대전자(greater trochanter)를 지난다.
    • 신전 모멘트(extension moment)가 발생하여 골반의 후방경사(posterior tilting)이 발생한다.
    • 장요근(iliopsoas)의 활동과 고관절 앞쪽 인대의 긴장이 발생한다.
  4. 천장 관절과 요천관절(sacroiliac and lumbosacral joint)
    • 요천각(lumbosacral angle)이 30도 정도 이다.
    • 전방경사(anterior tilting)는 요천각을 증가시켜 요천관절의 전단력(shearing stress)를 증가시키며 요추전만의 각도를 증가 시킨다.
    • LOG는 천장관절의 약간 앞을 통과한다.
  5. 척추(vertebral colum)
    • Cailliet는 LOG가 경추와 요추의 회전축 후방을 통과하고 흉추의 앞쪽 요추 5번의 추체를 통과한다고 했다.
    • Kendall은 LOG가 요추 추체와 경추와 흉추의 앞쪽을 통과한다고 하였다.
  6. 머리 (head)
    • LOG는 관상 봉합(coronal suture)의 후방을 통과하고 C2의 치돌기(odontoid process)를 통과한다.
    • LOG가 회전 축 앞쪽을 지나가고 굴곡 모멘트(flexion moment)를 생산한다.
신체 중력 중심선

신체 중력 중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