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운동평가
1. 평가내용
- 움직임의 질적이고 양적인 검사
- 좌우측의 대칭성
- 끝느낌
- 통증
2. 앉은 자세에서의 요추 굴곡
- 환자의 자세 : 체간을 곧게 편 상태로 발이 바닥에 닿도록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양팔을 엇갈리게하여 양손을 반대쪽 어깨위에 올린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팔을 한쪽 상지로 받쳐주고 다른쪽 손으로 검사하려는 두 극돌기 사이를 촉진한다.
- 적용 : 치료사는 두 극돌기 사이의 간격이 멀어질때까지 환자의 요추가 굴곡되게 한다. 이때 두 극돌기 사이의 간격이 너무 멀어지는지 아니면 간격의 변화가 적은지 그차이를 촉진으로 알아 본다.
- 부가적인 설명 : 환자의 체중이 신체 중심선을 넘어가도록 굴곡해야 한다.

수동 요추 굴곡 검사
3. 앉은 자세에서의 요추 신전
- 환자의 자세 : 체간을 곧게 편 상태로 발이 바닥에 닿도록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양팔을 엇갈리게하여 양손을 반대쪽 어깨위에 올린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팔을 한쪽 상지로 받쳐주고 다른쪽 손으로 검사하려는 두 극돌기 사이를 촉진한다.
- 적용 : 치료사는 두 극돌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때까지 받쳐준 팔을 들어 올려 환자의 요추가 신전되게 한다.
- 부가적인 설명 : 환자의 체중이 신체 중심선을 넘어가도록 굴곡해야 한다.

수동 요추 신전 검사
4. 앉은 자세에서의 요추 좌측 굴곡
- 환자의 자세 : 체간을 곧게 편 상태로 발이 바닥에 닿도록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양팔을 엇갈리게 하여 양손을 반대쪽 어깨위에 올린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오른쪽 측면에 앉아 온른 손으로 상위요추부를 잡고 왼손의 엄지로 두 극돌기 사이의 좌측면을 촉진 한다.
- 적용 : 치료사는 오른 손으로 환자의 상위 요추부를 당기며, 오른쪽 어깨로 환자의 체간을 좌측 굴곡되게 한다. 이때 엄지로 두 극돌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지 촉진한다.
- 부가적인 설명 : 환자의 체중이 신체 중심선을 넘어가도록 굴곡해야 한다.

수동 요추 좌측 굴곡 검사
5. 앉은 자세에서의 요추 우측 회전
- 환자의 자세 : 체간을 곧게 편 상태로 발이 바닥에 닿도록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양팔을 엇갈리게 하여 양손을 반대쪽 어깨위에 올린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엇갈린 팔사이로 치료사의 오른 팔을 끼워 넣어 환자의 왼쪽 어깨를 잡는다. 치료사의 왼쪽 엄지로 두 극돌기 사이의 좌측면을 촉진한다.
-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엇갈린 팔사이로 끼워 넣은 오른 팔을 당겨 환자의 체간이 우회전되록 만든다. 이때 왼쪽 엄지로 두 극돌기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지 촉진한다.

수동 요추 우측 회전 검사
6. 앉은 자세에서 결합 운동 검사
- 환자의 자세 : 체간을 곧게 편 상태로 발이 바닥에 닿도록 치료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양팔을 엇갈리게 하여 양손을 반대쪽 어깨위에 올린다.
-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팔을 한쪽 상지로 받쳐주고 다른쪽 손으로 검사하려는 두 극돌기 사이를 촉진한다.
- 적용 :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
- (1) 굴곡과 외측 굴곡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 운동인 생리적인 움직임(physiological movement)을 검사 한다(예, 1번+3번+4번과 반대 방향).
- (2) 굴곡과 외측 굴곡과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인 비생리적인 움직임(nonphysiological movement)을 검사 한다(예, 1번+3번+4번).
- (3) 신전과 외측 굴곡과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인 생리적인 움직임(physiological movement)을 검사 한다(예, 2번+3번+4번).
- (4) 신전과 외측 굴곡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 운동인 비생리적인 움직임(nonphysiological movement)을 검사 한다(예, 2번+3번+4번).
- 부가적인 설명 : 굴곡, 신전, 외측 굴곡, 회전 검사에서 통증이나 움지임의 제한이 없을 경우에 만 사용하는 기법이다.
- (1) 첫 번째 기법에서 굴곡과 좌외측 굴곡과 좌측 회전의 경우 척추의 우측 인대가 스트레치되고 좌측 인대의 긴장도가 감소하는 자세로 척추의 측부 인대의 문제를 검사 할 수 있다.
- (2) 두번째 기법에서 굴곡과 좌외측 굴곡과 우측 회전의 경우 척추의 우측 인대가 최대로 스트레치 되는 자세로 외측 굴곡과 방향과 반대측 인대의 긴장도 검사법(ligament tension test)이다.
- (3) 세번째 기법에서 신전과 좌외측 굴곡과 우측 회전의 경우 좌측 척추후관절(facet joint)이 최대로 압박(compress)되게하는 자세이며, 우측 척추후관절이 최대로 벌어(gapping)지게 되어 척추후관절낭이 최대로 스트레치 되는 자세로 외측 굴곡 방향과 동측 척추후관절내의 문제와 반대측 척추후관절낭의 문제를 검사 할 수 있다.
- (4) 네번째 기법에서 신전과 좌외측 굴곡과 좌측 회전의 경우 좌측 추간공(intervertebral foramen)을 가장 작게하는 자세로 외측 굴곡 방향과 동측 추간공의 문제를 검사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