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관절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합니다
  • 물리치료과 QRCODE - 특수검사 페이지 바로가기 (http://slpt.sunlin.ac.kr/slpt/50fkii@)

특수검사

1. 대퇴사두근각 / 대퇴슬개각 검사(Q-Angle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대퇴사두근과 슬개건 사이의 각(Q -각)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무릎을 신전한 채로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선다.
  4. 적용 : 측정할 때, 하지가 각각의 ASIS를 연결한 선에 직각을 이루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발은 회외와 회내에 대하여 중립자세로 놓여야 하고, 고관절은 내회전과 외회전에 대하여 중립자세를 유지하여야 한다. ASIS에서 슬개골의 중간지점까지 그리고 경골조면에서 슬개골의 중간지점까지를 연결하는 선을 긋는다. 이러한 두 선이 교차함으로써 형성된 각을 Q-각이라 부른다.
  5. 양성 징후 : 보통, Q-각은 13에서 18도이다.( 남자는 13도이고 여자는 18도이다) 13도보다 작은 Q-각은 슬개골의 연화증이나 슬개골 아탈구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16도 보다 더 큰 Q-각은 연골 연화증이나 슬개골이 아탈구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면 환자를 앉히고 슬관절을 90도로 굴곡 시켜서 절차를 반복한다. 슬관절을 90도 굴곡한 자세에서 정상적인 Q-각은 0도이다.
대퇴사근각 검사

대퇴사근각 검사

2. 파동 검사(Fluctuation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관절 삼출(정상 슬관절의 활액 5~7ml)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바로 누워 슬관절을 이완하여 신전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한손의 손바닥을 상 슬개낭(suprapatellar pouch)위에 두고 반대편 손은 슬개골 바로 아래에 둔다.
  4. 적용 : 한손과 그리고 나서 나머지 한손으로 아래로 압박함으로서 치료사는 손아래에 활액이 출렁이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있으며,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활액이 이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5. 양성 징후 : 활액의 출렁임이 있을 경우 관절 삼출물의 증가를 예상한다.
파동 검사

파동 검사

3. 대퇴골의 압박 검사/슬개골 억제 검사(Femoral Grinding Test/Patella inhibition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슬개골 연골 연화증(chondromalacia patellae)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슬관절을 신전한 채로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한 손의 web space를 이완된 환자의 upper patellar pole의 근위부에 둔다.
  4. 적용 : 슬개골위에서 부드럽게 아래로 누르는 동안 환자에게 슬개골을 능동 수축(슬관절 신전)해보라고 한다. 슬개골의 다른 부분을 검사하기 위해서, 슬관절을 30도, 60도 그리고 90도로 굴곡해서 검사할 수 있다.
  5. 양성 징후 : 슬개골 후면의 통증과 슬관절 신전근의 수축을 유지할 수 없을 경우 슬개골 연골 연화증을 예상 할 수 있다.
슬개골 억제 검사

슬개골 억제 검사

4. 덜걱거림 검사(Stutter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슬개골 연골 연화증(chondromalacia patellae)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슬관절을 신전한 채로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한 손의 web space를 이완된 환자의 upper patellar pole의 근위부에 둔다.
  4. 적용 : 슬개골위에서 부드럽게 아래로 누르는 동안 환자에게 슬개골을 능동 수축(슬관절 신전)해보라고 한다. 슬개골의 다른 부분을 검사하기 위해서, 슬관절을 30도, 60도 그리고 90도로 굴곡해서 검사할 수 있다.
  5. 양성 징후 : 슬개골 후면의 통증과 슬관절 신전근의 수축을 유지할 수 없을 경우 슬개골 연골 연화증을 예상 할 수 있다.
덜걱거림 검사

덜걱거림 검사

5. 인대의 검사
5-1. 외반 스트레스 검사/내측 간격 검사(Valgus Stress/Medial Gap)
  1. 해부학적 구조물 : 완전 신전 검사 - 내측부인대, 후사인대, 후내측 관절낭, 전십자인대, 후십자인대. 대퇴사두근의 내측, 반막양근과 건 등의 스트레스. 슬관절 20에서 30도 정도 굴곡 검사 - 내측부인대. 후사인대, 후십자인대, 후내측 관절낭이 스트레스
  2. 환자의 자세 : 바로 누워서 고관절은 굴곡하고 슬관절은 신전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환자 옆에 서서 환자의 하지를 받친다. 한손은 외측관절부에 놓고 반대편 손은 족관절의 내측에 놓는다.
  4. 적용 : 슬관절에 외반 스트레스를 가하고 내측의 틈을 벌린다. 슬관절을 완전히 신전한 상태에서 먼저 검사하고 다음 20에서 30정도 굴곡하여 검사 한다.
  5. 양성 징후 : 내측관절부의 과도한 벌어짐(등급I : 5mm이하, 등급 II : 5-10 mm , 등급 III : 10 mm이상)이 있는 경우 내측부 주변 조직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내측부인대에 통증이 있거나 반대측과 비교하여 불안정성이 있으면 인대의 외상을 예상할 수 있다. 인대가 완전히 파열되면 통증은 감소되지만 불안정성은 증가되고 대부분 내측 반월판의 외상을 동반한다. 또한 빈번하게 전십자인대의 외상도 일어난다.
외반 스트레스 검사

외반 스트레스 검사

5-2. 내반 스트레스 검사/외측 간격 검사(Varus Stress/Lateral Gap)
  1. 해부학적 구조물 : 슬관절을 신전 검사 - 외측 측부인대, 후외측낭, 슬와부, 대퇴이두건, 후십자인대, 전십자인대, 비복근 외측 섬유, 장경인대 등의 스트레스. 슬관절 20도에서 30도 굴곡 검사 - 외측부인대. 후외측 관절낭, 슬와부, 장경인대, 대퇴이두건 등의 스트레스
  2. 환자의 자세 : 바로 누워서 고관절은 굴곡하고 슬관절은 신전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환자의 옆에 서거나 환자의 다리사이의 치료대에 앉고, 한손을 슬관절의 내측부에 두고 나머지 손은 족관절 외측에 둔다.
  4. 적용 : 내반 스트레스를 가하여 외측을 벌린다. 슬관절을 처음에는 완전히 신전한 상태에서 검사하고 그 다음 슬관절을 20도에서 30도 정도 굴곡하여 검사한다.
  5. 양성 징후 : 외측 관절 부위 과도한 벌어짐(등급 I : 5mm이하, 등급 II : 5-8mm, 등급 III : 8mm이상)이 있는 경우 외측부 주변 조직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외측부인대에 통증이 있거나 반대편과 비교하여 불안정성이 있으면 인대의 외상을 예상할 수 있다.
외반 스트레스 검사

내반 스트레스 검사

5-3. 전방 당김 검사(Anterior Drawer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전십자인대, 후외측 관절낭, 후내측 관절낭, 내측부인대 심부섬유. 장강경인대, 후사인대, 아치모양의 슬와 복합체
  2. 환자의 자세 : 바로 누워서 고관절을 45도로 굴곡하고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한다. 발을 치료대위에 두고 중립자세나 외회전 또는 내회전 자세를 둘 수 있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치료대와 환자의 전족위에 앉는다. 엄지를 앞쪽으로 평행하게 해서 양손으로 경골상부에 놓는다. 이완을 위해서 슬괵근을 촉진한다.
  4. 적용 : 대퇴골에서 경골을 전방으로 당긴다.
  5. 양성 징후 : 경골의 과도한 전방 움직임과 끝범위가 뚜렷하게 정하여지지 않으면 상기 구조물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전방 당김 검사

전방 당김 검사

5-4. 휴스톤의 반사 검사(Jerk Test of Hughston)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전십자인대. 후외측 관절낭, 아치모양의 슬와 부, 외측부인대, 장경인대
  2. 환자의 자세 :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환자 옆에 서서 검사하는 다리를 발목을 이용해서 들어올린다.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하고 반대편 손의 손바닥을 엄지를 아래로 하여 상위 후외측 경골위에 둔다.
  4. 적용 : 슬관절에 외반 스트레스을 가하고 경골을 내회전시킨다. 점차적으로 슬관절을 신전한다.
  5. 양성 징후 : 약 30도 굴곡에서 신전이 됨에 따라 경골의 전방 아탈구가 자동적으로 정복이 되는 양상이 나타나면 상기 구조물의 문제를 예상 할 수 있다.
휴스톤의 반사 검사

휴스톤의 반사 검사

5-5. 후방 밀기 검사(Posterior Drawer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후십자인대, 아치모양의 슬와부, 외측부인대, 대퇴이두건, 후외측 관절낭, 전십자인대
  2. 환자의 자세 : 바로 누워서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하고 고관절을 45도로 굴곡한다. 발은 중립위치로 하여 치료대위에 놓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치료대와 환자 발위에 앉는다. 양손을 상위 경골위에 두고 엄지는 슬개건에 평행하게 한다.
  4. 적용 : 양 손바닥으로 대퇴에 대하여 경골을 후방으로 민다.
  5. 양성 징후 : 후방으로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과도한 움직임과 뚜렷하게 끝범위가 정하여지지 않으면 상기 구조물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등급 I : 5mm 이하, 등급 II : 5-10mm, 등급 III : 10mm이상)
    • 명확한 불안정성 : 회전이 일어나지 않음
    • 후내측 회전 불안정성 : 내측 경골과의 후방 아탈구
    •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 외측 경골과의 후방 아탈구
후방 밀기 검사

후방 밀기 검사

5-6. 제콥슨의 검사/역 축이동 검사(Jacob Test, Reverse Pivot Shift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후십자인대. 박막양근, 후내측 관절낭, 아치모양의 슬와부. 외측부인대, 대퇴이두건. 후외측 관절낭, 전십자인대
  2. 환자의 자세 : 바로 누워서 슬괵근을 이완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환자의 검사하는 쪽 하지를 들어올리고 엄지를 내측과위에 두고 발뒤꿈치를 한손으로 잡는다. 반대편 손은 근위 비골위에 손바닥을 든 채 종아리의 바깥쪽에 둔다.
  4. 적용 : 슬관절을 80정도로 굴곡하고 외측 경골 관절면을 후방으로 아탈구 되도록 하지를 외회전한다. 근위 경골에 외반 힘을 가하는 동안 슬관절을 천천히 신전한다.
  5. 양성징후 : 20-40도 굴곡했을 때 앞쪽 방향에서 대퇴에 대한 경골의 재배치는 후외측 불안정성을 나타낸다.
제콥슨 / 축이동 검사

제콥슨 / 축이동 검사

5-7. 아플레이 견인 검사(Apley Distraction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슬관절 인대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엎드린 자세로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선다. 치료사의 슬관절을 대퇴원위부에 둔다. 양손으로 발목주위를 잡는다.
  4. 적용 : 원위 방향으로 견인력(distraction force)을 적용해라.
  5. 양성 징후 : 통증의 재현되는 경우 슬관절 인대의 문제를 예상할 수있다.
아플레이 견인 검사

아플레이 견인 검사

6. 내외측 반월판 검사
6-1. 튀김 검사(Bounce Home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반월판의 파열, 관절내 부유물, 관절낭내 부종
  2. 환자의 자세 : 바로 누워서 슬관절을 굴곡하고 대퇴사두근을 이완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환자의 옆에 서서 한손으로 발뒤꿈치를 잡는다. 반대편 손으로 슬관절 아래를 받친다.
  4. 적용 : 슬관절을 수동으로 부드럽게 굴곡하고 수동으로 가동범위 끝까지 슬관절을 신전한다.
  5. 양성 징후 : 고무질 같은 끝느낌이 있거나 슬관절 신전의 제한되면 반월판의 파열. 관절내 부유물. 관절낭내 부종을 예상할 수 있다.
튀김 검사 검사

튀김 검사 검사

6-2. 수정된 맥머레이의 검사(Modified McMurray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내측 반월판과 외측 반월판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환자의 옆에 서서 한손으로 발을 잡고 반대편 손으로 슬관절 내측선을 촉진한다.
  4. 적용 : 점차 슬관절을 신전하는 동안 발뒤꿈치의 움직임은 U자 모양의 호를 그리게 한다.
  5. 양성 징후 : 딸가닥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있을 경우 반월판의 손상을 예상할 수 있다.
맥머레이의 검사

맥머레이의 검사

6-3. 슬관절 복합 반월판 검사(Knee Quadrant Meniscus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내측 반월판과 외측반월판
  2. 환자의 자세 : 바로 누워서 검사하는 다리의 고관절과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서서 한손으로 슬관절의 앞쪽에 대고 반대편 손으로 족관절 바로 위의 원위 경골과 비골부를 잡는다.
  4. 적용 :
    • 단계Ⅰ: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하고 다리를 내회전하여 슬관절을 완전하게 굴곡한다. 슬관절부에서 딸각거림이나 마찰되는 것을 촉지한다. 통증이 있고 어느 위치에서 나타나는지 환자에게 물어 본다. 이것은 내측 반월판의 후방 복합 검사이다.
    • 단계Ⅱ: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하고 외회전과 결합하여 완전하게 굴곡한다. 슬관절부에서 딸각거림이나 마찰되는 것을 촉지한다. 환자에게 통증이 있는지 어디에서 나타나는지 물어본다. 이것은 외측 반월판의 후바 복합 검사이다.
    • 단계Ⅲ: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하고 내회전과 결합하여 완전하게 신전한다. 슬관절부에서 딸각거림이나 마찰되는 것을 촉지한다. 환자에게 통증이 나타나는지 어디에서 나타나는지 물어본다. 이것은 외측 반월판의 전방 복합 검사이다.
    • 단계 Ⅳ: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하고 외회전과 결합하여 완전 신전하라. 슬관절부에서 딸각거림이나 마찰되는 것을 촉지한다. 환자에게 통증이 있는지 어디에서 나타나는지 물어본다. 이것은 내측 반월판의 전방 복합 검사이다.
  5. 양성 징후 : 만져지거나 소리로 들을 수 있는 딸각거림이나 마찰음, 그리고 /또는 통증을 검사하는 기술로 확인할 수 있다.
  • 슬관절 굴곡, 내회전 반월판 검사

    슬관절 굴곡, 내회전 반월판 검사

  • 슬관절 굴곡, 외회전 반월판 검사

    슬관절 굴곡, 외회전 반월판 검사

  • 슬관절 신전, 내회전 반월판 검사

    슬관절 신전, 내회전 반월판 검사

  • 슬관절 신전, 외회전 반월판 검사

    슬관절 신전, 외회전 반월판 검사

6-4. 아플레이 압박 검사(Apley Compression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내/외측 반월판
  2. 환자의 자세 : 엎드린 자세로 슬관절을 다양한 각도로 굴곡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환자의 옆에 서서 한손을 발뒤꿈치나 발바닥을 잡는다. 반대편 손은 슬관절 내측과 외측에서 놓는다.
  4. 적용 : 슬관절을 다양한 굴곡 각도에서 압박하고 굴곡된 자세에서 내회전과 외회전을 결합한다.
  5. 양성 징후 : 위험인자를 만질수 있거나 내측이나 외측에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 약간의 굴곡은 전방 반월판각을 압박한다. 좀더 굴곡하면 후방 반월판각을 압박한다.
아플레이 압박 검사

아플레이 압박 검사

근육의 길이 검사
7-1. 비복근 아킬레스건의 길이 검사(Gastrocnemius Achilles Length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비복근, 가자미근
  2. 환자의 자세 : 치료대의 가장 자리에 가깝게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서서 슬관절을 한손으로 안정화하고 검사하는 손은 종골을 받치고 전완으로 발을 받쳐 준다.
  4. 적용 : 환자의 슬관절을 신전한 상태로 치료사는 수동으로 발목을 배굴한다. 그 다음 슬관절을 굴곡하여 발목을 배굴시킨다.
  5. 양성 징후 : 슬관절을 굴곡한 상태에서는 배굴이 충분히 일어났어나 슬관절 신전한 상태에서는 배굴이 제한된다면 비복근의 길이가 짧음을 예상 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의 길이 검사

아킬레스건의 길이 검사

7-2. 오블의 검사(Ober‘s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대퇴근막장근과 장경인대의 구축. Ober는 처음으로 슬관절을 굴곡한 상태에서의 검사법 제시. (단 장경인대는 슬관절이 신전되었을 때 가장 많이 신장)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안정성을 위해 아래쪽 다리의 슬관절과 고관절을 굴곡하여 옆으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뒷쪽에 서서 고관절로 위쪽다리를 받치고 반대편 손으로 치료대위의 골반을 안정화시킨다.
  4. 적용 : 슬관절을 90도로 굴곡한다. 수동으로 위쪽다리의 고관절을 외전하고 신전한다. 이 자세에서부터 치료사는 천천히 다리를 내려서 다리를 치료대 쪽으로 떨어지게 한다.
  5. 양성 징후 : 슬관절을 치료대까지 떨어지지 않는 경우 대퇴근막근이나 장경인대의 구축을 예상할 수 있다.
오블의 검사

오블의 검사

7-3. 엘리의 검사(Ely‘s Test)
  1. 해부학적인 구조물 : 대퇴직근의 유연성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엎드린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한손은 환자의 발목아래를 잡고 나머지 손으로 고관절을 촉진한다.
  4. 적용 : 환자는 스스로 슬관절을 굴곡한다. 음성 반응이 나오면 치료사는 수동으로 끝범위까지 슬관절을 굴곡시킨다. 계속 음성 반응이면 치료사는 수동으로 환자의 고관절을 신전시킨다.
  5. 양성 징후 : 슬관절 굴곡했을 때 같은 쪽의 고관절이 자동적으로 굴곡되는 경우 대퇴직근의 팽팽함을 예상할 수 있다.
엘리의 검사

엘리의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