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관절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합니다
  • 물리치료과 QRCODE - 관절내움직임평가 페이지 바로가기 (http://slpt.sunlin.ac.kr/slpt/3anfn0@)

관절내 움직임 평가

1. 경골에 대해 근위부 비골의 전후방 활주 검사 (Anterior-posterior Glide of The Proximal Fibula on The Tibia)
  1. 검사 : 비골두의 움직임을 검사
  2. 치료 :
    • 비골두의 움직임 제한
    •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로 적용
  3.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바로 누워 고관절과 슬관절을 굴곡하고 발은 치료대위에 놓는다.
  4.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발쪽 방향에서 치료대위에 앉아 환자 하퇴 전면을 잡는다. 한손은 내측에서 경골을 안정시키고, 다른 손의 손바닥과 검지로 비골두 주위를 잡는다.
  5. 적용 : 치료사는 비골두를 전 외측이나 후 내측 방향으로 움직여본다.
  6. 부가적인 설명 : 비골신경에 자극을 가하지 않기 위하여 비골두 주위는 부드럽게 접촉한다.
비골의 전후방 활주

비골의 전후방 활주

2.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후방 활주 검사 (Posterior Glide of The Tibia on The Femur)
  1. 검사 : 슬관절의 굴곡이 제한 될 때 검사
  2. 치료 :
    • 관절내 움직임의 문제로 굴곡이 제한
    •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로 적용
  3.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대퇴골의 원위부 아래에 단단히 말은 수건이나 패드를 넣은 채 바로 눕는다.
  4.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옆에 서서 환자의 슬관절을 잡는다. 한손은 환자의 대퇴골 원위부를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는 가능한 관절부에 가깝게 두고 환자의 근위 경골의 전면을 잡는다.
  5. 적용 : 치료사는 경골을 후방으로 움직인다.
  6. 부가적인 설명 : 환자의 대퇴아래에 있는 패드의 크기는 관절의 구축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경골의 후방 활주

경골의 후방 활주

3. 경골에 대한 대퇴골의 후방 활주 검사 (Posterior Glide of The Femur on The Tibia Test)
  1. 검사 : 슬관절의 신전이 제한 될 때 검사
  2. 치료 :
    • 관절내 움직임의 문제로 신전이 제한
    •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로 적용
  3. 환자의 자세 : 환자는 경골의 근위부 아래에 단단히 말은 수건이나 패드를 넣은 채 바로 눕는다.
  4.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 다리 옆에 서고, 환자의 슬관절을 잡는다. 한 손은 경골의 근위단을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는 가능한 관절부에 가깝게 두고 환자의 대퇴의 전면 주위를 잡는다.
  5. 적용 : 치료사는 대퇴를 후방으로 움직인다.
  6. 부가적인 설명 : 환자의 대퇴 아래에 있는 패드의 크기는 관절의 구축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대퇴골의 후방 활주

대퇴골의 후방 활주

4. 경골에 대한 대퇴골의 전방 활주 검사 (Anterior Glide of The Femur on The Tibia Test)
  1. 검사 : 슬관절의 굴곡이 제한 될 때 검사
  2. 치료 :
    • 관절내 움직임의 문제로 굴곡이 제한
    •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로 적용
  3.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 위에 엎드리고 환자의 경골 아래에 단단히 말은 수건이나 패드를 놓고, 고관절 아래와 발목 전면 아래에 베개 하나를 둔다.
  4.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다리 내측에 서서, 환자의 슬관절을 잡는다. 한 손은 환자의 경골 근위부를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는 가능한 관절부에 가깝게 두고, 환자 대퇴부의 후면을 잡는다.
  5. 적용 : 치료사는 전방으로 대퇴를 움직인다.
  6. 부가적인 설명 : 환자의 고관절 아래에 두는 베개의 크기는 슬관절의 구축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대퇴골의 후방 활주

대퇴골의 후방 활주

5.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전방 활주 검사 (Anterior Glide of The Tibia on The Femur Test)
  1. 검사 : 슬관절의 신전이 제한 될 때 검사
  2. 치료 :
    • 관절내 움직임의 문제로 신전이 제한
    •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로 적용
  3.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 위에 엎드리고 대퇴부 아래에 단단히 말은 수건이나 패드를 넣는다.
  4. 치료사의 자세 : 한손은 슬관절을 약간 굴곡한 채 발목의 전면을 잡고, 다른 손은 가능한 관절부에 가깝게 두어 환자의 경골 후부를 잡는다.
  5. 적용 : 치료사는 전방으로 경골을 움직인다. 경골의 원위단을 같은 방향과 같은 크기로 움직인다.
  6. 부가적인 설명 : 환자의 발목아래에 있는 베개의 크기는 환자의 슬관절 구축정도에 따라 결정한다.
경골의 전방 활주

경골의 전방 활주

6.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외측 또는 내측 활주 검사(Lateral or Medial Glide of The Tibia on The Femur Test)
  1. 검사 :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이 제한 될 때 검사
  2. 치료 :
    • 관절내 움직임의 문제로 굴곡과 신전의 제한
    •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로 적용
  3.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슬관절을 약간 굴곡한 채로 옆으로 누워서 다리를 치료대의 밖으로 뻗는다. 반대편 하지는 굴곡한다.
  4.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다리를 한쪽 손과 몸으로 받친다. 다른 손은 경골 근위부의 내측면위에 두고 치료사의 전완을 다리에 대해 90도로 유지한다.
  5. 적용 : 치료사는 다리를 외측 / 내측 방향으로 활주시키는데, 이때 슬관절의 관절면과 평행하게 하며 두 손을 동시에 움직인다.
  • 경골의 외측 활주

    경골의 외측 활주

  • 경골의 내측 활주

    경골의 내측 활주

7. 슬개골의 원위/근위 방향 활주 검사 (The Patella in a Distal/Proximal Direction Test)
  1. 검사 : 슬개골의 움직임 검사
  2. 치료 :
    • 슬개골 움직임 감소
    •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로 적용
  3.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 위에 옆으로 누워서 수건을 말아서 슬관절 아래에 두고 슬관절을 약간 굴곡한다.
  4.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의 한손은 슬개골의 압박을 방지하기 위해 슬개골의 아래쪽에 둔다
  5. 적용 : 치료사는 근위방향에서 원위 방향/윈위 방향에서 근위방향으로 대퇴골과 평행하게 슬개골을 움직인다.
  • 슬개골의 원위 방향 활주

    슬개골의 원위 방향 활주

  • 슬개골의 근위 방향 활주

    슬개골의 근위 방향 활주

8. 슬개골의 내측/외측 방향 활주 검사 (The Patella in a Medial/Lateral Direction Test)
  1. 검사 : 슬개골의 움직임 검사
  2. 치료 :
    • 슬개골 움직임 감소
    •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로 적용
  3.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 위에 바로 누워 슬관절을 약간 굴곡하고, 슬관절 아래에 작은 수건을 말아 넣는다.
  4.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의 왼쪽 손바닥 web space를 슬개골 위에 두고 오른쪽 손바닥 web space를 슬개골 아래에 둔다.
  5. 적용 : 치료사의 엄지로 슬개골을 내측방향으로 움직인다(그림:슬개골의 내측 활주). 외측방향에서 슬개골을 움직인다(그림:슬개골의 외측 활주).
  6. 부가적인 설명 : 가동화 기술을 적용하는동안 슬개골의 압박을 피하라.
  • 슬개골의 내측 활주

    슬개골의 내측 활주

  • 슬개골의 외측 활주

    슬개골의 외측 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