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관절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합니다
  • 물리치료과 QRCODE - 능동운동평가 페이지 바로가기 (http://slpt.sunlin.ac.kr/slpt/v3cq33@)

능동운동평가

  • 환자의 측면과 정면에서 환자의 움직임을 관찰
  • 좌우 움직임을 비교
  • 환자가 동일한 동작을 3번 반복하는 동안 움직임의 양적인면(관절 가동 범위)과 질적인 면(움직임 양상, 증상 발생 여부)을 검사
  • 이후 수동운동 평가를 통하여 관절 가동범위의 제한이 수축성 조직(근육, 건)의 문제 인지 비수축성 조직(인대, 관절낭)의 문제인지를 구별하는 자료로 활용
관절 가동범위 정보를 제공하며 구분, 능동관절가동범위, 수동관절가동범위, 원인 항목으로 구성된 표
구분 능동 관절 가동 범위 수동 관절 가동 범위 원인
1 Full Limit
  • 관절 내 유리체
  • 환자의 심리적 문제
2 Full Full
  • 가동범위 보다 다른 증상에 주목
3 Limit Limit
  • 비수축성 조직의 긴장
  • 길항근의 긴장
4 Limit Full
  • 주동근 근력 약화
  • 길항근의 상호 이완 조절 불능
  • 관절 내 부종
능동 굴곡 / 신전 검사
  • 환자가 앉은 자세나 엎드린 자세, 바로 누운 자세에서 평가
  • 환자가 3번 굴곡ㆍ신전 하는 동안 치료사는 굴곡ㆍ신전 가동 범위, 움직임의 양상도 함께 검사
  • 경대퇴관절, 슬개대퇴관절, 상경비관절에서의 움직임을 동시에 검사
  • 능동 슬관절 굴곡 검사

  • 능동 슬관절 신전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