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진
1. 뼈의 촉진
환자의 슬관절 주변 뼈를 촉진하기 위하여 치료대 가장자리에 슬관절이 90도 굴곡 되는 자세로 걸터앉도록 하거나, 환자가 바로 누운 자세에서 슬관절을 90도 굴곡하도록 한다. 가능한 체중 지지를 하지 않는 것이 슬관절 주변 근육, 건, 인대가 이완되어 촉진하기 쉬워진다.
-
경골 조면
- 슬개건이 부착지점
- 결골 조면의 내측 - 아족(pes anserine)의 정지부와 정액낭 위치
-
대퇴골 내측과 촉진
- 내측광근과 슬괵근의 부착지점
- 내측연, 내측상과 촉진
- 이단성 연골염이나 관절염으로 인한 연골의 결손 촉진 가능
-
비골두 촉진
- 경골 조면과 거의 같은 높이
- 비골두 안정성검사, 경골신경 압박 검사의 기준으로 활용
-
경골 조면 촉진
-
대퇴골 내측과 촉진
-
비골두 촉진
2. 연부 조직의 촉진
환자의 슬관절 주변 연부 조직을 촉진하기 위하여 치료대 가장자리에 슬관절이 90도 굴곡 되는 자세로 걸터앉도록 하거나, 환자가 바로 누운 자세에서 슬관절을 90도 굴곡하도록 한다. 전면, 후면, 외측면, 내측면을 나누어 촉진하나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연부조직의 촉진만 다룬다.
- 내측 측부 인대
- 대퇴골 내측상과와 경골을 연결
- 표층 : 심층에 비하여 원위부에서 경골의 돌출부에 부착
- 심층 : 경골 프라토와 반월판 부착
- 봉공근(sartorius), 박근(gracilis), 반건양근(semitendinsus)
- 슬관절의 후내측
- 내측 경골 플라토에 부착
- 슬관절 내측을 가로질러감으로 명확한 촉진 가능
- 슬관절 굴곡에 대한 저항을 부여하면 건이 돌출
- 외측 측부 인대
- 대퇴골 외측상과와 비골두을 연결
- 환자 : 검사하는 하지의 발을 반대편 하지 위에 놓음
- 슬관절 90도 굴곡, 고관절 외전과 외회전 : 장경인대 이완으로 외측 측부 인대 분리 촉진 가능
- 관절선을 따라 후외측에 위치
- 장경 인대(iliotibial tract)
- 슬관절 외측 전방에 위치
- 정지점인 외측 경골 결절에서 촉진
- 촉진 자세 : 슬관절 굴곡 저항, 슬관절 신전상태의 하지 거상
- 소아마비, 척수 수막류 마비의 경우 슬관절 변형의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