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관절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합니다
  • 물리치료과 QRCODE - 특수검사 페이지 바로가기 (http://slpt.sunlin.ac.kr/slpt/nh0xvh@)

특수검사

1. 트렌델렌버그 징후(Trendelenburg Sign)
  1. 해부학적 구조물 : 고관절의 안정성과 대퇴골과 관련된 골반의 안정성을 위한 고관절 외전근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 옆에 선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 옆에 선다.
  4. 적용 : 검사하는 다리에 체중을 지지하고, 그렇지 않은 다리는 가슴 쪽으로 들어올린다.
  5. 양성징후 : 지지하고 있지 않는 골반이 아래로 내려간다. 만일, 지지하고 있지 않는 골반이 위로 올라온다면 음성반응이다.
트렌델렌버그 징후

트렌델렌버그 징후

2. 사분면 검사(Scouring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고관절 관절연골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반듯하게 눕는다. 고관절 90°, 슬관절 굴곡, 고관절을 약간 내전시킨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치료대 옆에 선다.
  4. 적용 : 고관절 90°굴곡, 약간 내전된 상태에서 후외측으로 힘을 적용한다. 양방향에서 고관절의 회전을 적용한다.
  5. 양성징후 : 통증 혹은 염발음
사분면 검사

사분면 검사

3. 염발음 촉진(Crepitus Palpation)
  1. 해부학적 구조물 : 고관절 전방 관절낭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반듯하게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전상장골극(ASIS)에 손을 대고, 서혜인대를 따라 내측으로 대퇴동맥의 맥박이 느껴질 때 까지 촉진한다. 손가락은 외측과 미부 쪽으로 약 1cm 옮긴다.
  4. 적용 : 손으로 촉진하고 있는 부위에 압력을 증가시키고 다른 한손으로는 대퇴부를 내-외회전 시킨다.
  5. 양성징후 : 염발음이 촉진된다.
염발음 촉진

염발음 촉진

4. 페트릭 검사 / 페벨 검사(Patrick's Test / Faber's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고관절, 장요근 이나 고관절 내전근의 경련, 천장관절의 병변.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반듯하게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손으로 환자의 전상장골극(ASIS)을 고정하여 옆에 선다.
  4. 적용 : 치료사는 환자의 외측과를 반대 하지의 슬관절 위에 올려놓고 고관절이 외전되도록 슬관절을 치료대 가까이 내려놓는다. 이 때 반대 전상장골극(ASIS)잡아 골반을 고정하고 슬관절이 치료대 가까이 가도록 하방 압력을 가한다.
  5. 양성징후 :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의 제한
패트릭 검사

패트릭 검사

5. 대퇴이두근 구축 검사(Bieps Femoris Contracture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대퇴이두근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반듯하게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치료사는 양손으로 환자의 무릎을 고정하고, 환자의 발목은 치료사의 어깨에 걸친다.
  4. 적용 : 고관절 굴곡, 슬관절 신전상태에서 통증이 생기는 곳까지 하지를 들어올린다. 슬관절 30°굴곡하여 통증이 짧게 나타나는 지점까지 고관절 굴곡, 슬관절 굴곡 방지를 위해 20-30초 정도 등장성 수축을 유지한다.
  5. 양성징후 : 통증의 재발
대퇴이두근 구축 검사

대퇴이두근 구축 검사

6. 토마스 검사(Thomas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고관절 굴곡 구축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에 대각선 방향으로 반듯하게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검사하는 슬관절을 고정하여 옆에 선다.
  4. 적용 : 환자는 비 검사측 대퇴를 슬관절 굴곡하여 가슴 쪽으로 당긴다. 슬관절 굴곡된 검사측 하지는 천천히 치료대의 끝으로 내려놓는다.
  5. 양성징후 : 대퇴를 치료대 아래로 내릴 수 없다.
토마스 검사

토마스 검사

7. 이상근의 신장 검사(Piriformis Stretch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이상근과 좌골신경 포착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슬관절을 90° 굴곡하고 고관절을 내전시킨 상태에서 엎드려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 옆에 선다.
  4. 적용 : 고관절을 내회전 시킨다. 환자는 능동적으로 고관절의 외회전에 저항한다. 이상태를 20-30초정도 등척성 수축을 유지한다.
  5. 양성징후 : 좌골신경통 유발이 가능하고, 이상근 증상이 재발
이상근의 신장 검사

이상근의 신장 검사

8. 엘리의 검사(Ely's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대퇴직근 유연성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엎드려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한 손은 환자 발목 아래를 잡고 반대 손은 고관절을 촉진하여 환자 옆에 선다.
  4. 적용 : 환자는 능동적으로 슬관절을 굴곡 한다. 만약 음성이라면, 치료사는 수동적으로 환자의 슬관절을 끝 범위까지 굴곡 시킨다. 만일 음성이라면, 치료사는 환자의 고관절을 수동적으로 신전시킨다.
  5. 양성징후 : 슬관절이 굴곡된 상태에서 환자의 같은 쪽 고관절은 자연스럽게 굴곡 되어있을 것이며 이는 같은 쪽 대퇴직근의 단축을 의미한다.
엘리의 검사

엘리의 검사

9. 소아의 고관절 검사
9-1. 바로우 검사(Barlow's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고관절의 안정성, 생후 6개월 이상 된 유아에게 사용한다.
  2. 환자의 자세 : 유아의 다리가 치료사를 향하게 해서 반듯하게 눕힌다. 고관절, 슬관절을 90° 굴곡 한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유아를 마주보고, 검사대에 앉는다. 중지는 대전자에 두고, 엄지는 슬관절과 대퇴의 안쪽에 근접한 소전자에 둔다.
  4. 적용 : 양쪽 고관절을 90° 이상 굴곡하고 고관절을 서서히 외전 시키고, 그 동안 치료사는 중지로 대전자 뒤에서 앞으로 밀면서 압력을 가한다.
  5. 양성 징후 : 만일 대퇴골두가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관골구가 전방으로 미끄러지면 양성이고 고관절 탈구를 의미한다. 관절연골 손상과 반복된 검사와 함께 고관절 불안정성에 주의해야 한다.
9-2. 오토라니 검사(Ortolani's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고관절 안정성. 8주 이상 된 유아의 고관절 탈구와 느슨함
  2. 환자의 자세 : 유아의 다리를 치료사와 마주보게 하고 바로 눕힌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검사대에 앉는다. 고관절을 굴곡하고 엄지로 양쪽 대퇴를 잡고, 손가락은 대전자에 놓는다.
  4. 적용 : 고관절을 90°굴곡 시키고 서서히 외전 시키며 대전자에 압력을 가한다.
  5. 양성 징후 : 고관절 탈구는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30-40° 외전된다. 더욱, 고간절의 외전을 증가 시킬 수 있다.
9-3. 텔레스코핑 움직임 검사(Telescopic Movement Test)
  1. 해부학적 구조물 : 고관절 안정성. 정상적인 고관절에서 약간의 움직임이 발생한다.
  2. 환자의 자세 : 유아의 다리를 치료사와 마주보게 하고 바로 눕힌다. 고관절을 90°굴곡시킨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유아와 마주보고 검사대에 앉는다. 한손으로 골반을 고정한다. 슬관절과 고관절을 90° 굴곡 시키고 반대 손으로 하퇴를 잡는다.
  4. 적용 : 대퇴골과 하퇴를 검사대 방향으로 밀었다가 잡아당긴다.
  5. 양성 징후 : 관골구에서 대퇴골두의 탈구를 텔레스코핑 혹은 피스톤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