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관절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합니다
  • 물리치료과 QRCODE - 관절내움직임평가 페이지 바로가기 (http://slpt.sunlin.ac.kr/slpt/stej5m@)

관절내움직임평가

1. 휴식 자세에서 고관절에 대한 대퇴골두의 원위 활주
(Distal glide of the head of the femur with the hip in the resting position)
  1. 적응 : 제한된 움직임을 증진(개선)한다.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에 고관절 휴식 자세에서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 발의 저측면 가장자리에 선다.
  4. 고정 : 환자의 골반은 치료대의 보조물에 의해 전상장골극 또는 고정된 스트럽(등자 가죽끈)에 의해 환자의 서혜부까지 고정된다. 환자의 전상장골극 위로 지나는 스트랩은 더 좋은 안정화를 위해 사용한다. 치료사는 복사뼈 위쪽에 있는 환자 다리의 원위부를 잡는다. 치료사의 허리 주위와 손 주위를 벨트로 고정하고 가동화(관절 유동 기법)가 필요할 때 더 사용할 수 있다.
  5. 가동화(관절 유동 기법) : 치료사는 다리의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된 주관절을 뒤쪽으로 젖힌다. 그래서 관절에 일부의 무게가 제공되어 견인된다.
대퇴골두의 원위 활주

대퇴골두의 원위 활주

2. 고관절의 측방 견인
(Lateral distraction of the joint)
  1. 적응 : 전반적인 고관절 유동성을 증진한다.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에 고관절 휴식 자세상태에서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고관절 가장자리에 선다.
  4. 고정 : 고정벨트는 환자의 전상장골극에 고정한다.
  5. 가동화 : 치료사의 손은 환자의 근위 내측 서혜부를 잡는다. 벨트는 치료사 고관절과 손을 감싼다. 치료사는 몸을 뒤로 기울임으로써 화살표 방향으로 관절분리가 일어난다.
고관절의 측방 견인

고관절의 측방 견인

3. 고관절 굴곡된 자세에서 대퇴골두의 원위 활주의 검사 또는 가동화
(Test or mobilization of distal glide of the head of the femur with the hip in a flexed position)
  1. 적응 : 제한된 움직임을 증진하며, 특히 굴곡움직임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바로 누워서 고관절을 굴곡하기 쉬운 각도에 놓고 슬관절을 굴곡하여 이완한다.
  3. 치료사의 자세 :치료사는 굴곡된 슬관절 옆에 서거나 앉는다. 슬관절은 치료사의 어깨위에 지지되고 걸쳐진다.
  4. 고정 : 환자의 골반은 치료대에 스트럽으로 고정되고 환자의 전상 장골극은 보조벨트에 고정한다. 치료사의 손은 내측과 외측면에서 대퇴골의 전방, 근위부를 잡는다.
  5. 가동화 : 치료사는 뒤로 기울임으로써 원위 방향으로 대퇴골두를 움직인다. 이 움직임동안 고관절에서 조금의 견인은 지속된다.
  6. 설명 : 이 기법은 만약 환자가 슬관절 질환이 있으면 앞선 견인기법으로 대신 한다.
대퇴골두의 가동화 검사

대퇴골두의 가동화 검사

4. 대퇴골두의 전방 활주의 검사 또는 가동화
(Test or mobilization of anterior glide of the head of the femur)
  1. 적응 : 제한된 신전과 외회전을 증진한다.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의 모서리에 전상 장골극이 접촉되게 하여 치료대에 엎드린다. 베개 또는 쐐기를 전상 장골극의 아래에 놓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다리와 접촉하고 환자의 고관절에 중간에 선다. 치료사의 미부쪽 손은 슬개골 높이에 환자의 슬관절을 잡는다. 다리를 지지하기 위해 치료사의 어깨 주위에 스트랩을 이용하여 환자의 원위 대퇴골 주위에 연장한다.
  4. 가동화 : 치료사의 소지구 융기는 환자의 근위 대퇴골 접촉한다. 치료사의 두부쪽 손에 의해 복측 활주는 관절면과 평행하게 적용한다. 치료사의 두부 주관절은 연장된 상태이다.
  5. 설명 : 저항하는 고관절 굴곡에 반대하여 유지-이완 기법 스트랩에 의해 쉽게 결합한다. 수동적 외회전은 환자의 발목을 치료사 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으로 더 해 질수 있다.
대퇴골두의 전방 활주

대퇴골두의 전방 활주

5. 대퇴골두의 후방 활주 검사 또는 가동화
(Test or mobilization of posterior glide of the head of the femur)
  1. 적응 : 제한된 굴곡과 내전을 증진한다.
  2. 환자의 자세 : 환자는 치료대에 슬관절 굴곡하여 이완상태에서 고관절을 굴곡하기 쉬운 각도에서 바로 눕는다.
  3. 치료사의 자세 : 치료사는 환자의 굴곡된 고관절과 슬관절 가장자리 반대쪽에 선다. 슬관절은 치료사의 오른쪽 전완으로 받치게 한다.
  4. 고정 : 치료사의 한 손은 환자의 골반 안정을 위해 장골 아래를 잡는다. 다른 손은 환자의 오른쪽 슬관절의 전방부위를 감싼다.
  5. 가동화 : 치료사는 환자의 고관절를 굴곡하기 쉬운 각도에서 등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치료사의 체중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6. 설명 : 그림 B는 대전자의 측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고관절 외회전하는 같은 기법이다.
대퇴골두의 후방 활주

대퇴골두의 후방 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