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 사고 방식과 통증 자각
게시일 2005-09-13 21:48 | 최종수정 2010-09-09 14:29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통증 자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는 미국 웨이크포레스트 대학 연구팀이 10명의 건강한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다리에 열 자극을 가하면서 기능 자기공명 영상기기를 통한 뇌의 촬영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팀은 자기공명 영상 촬영을 통하여 실험 참가자들의 뇌 활성 부위를 파악할 수가 있었는데, 우선 훈련을 위하여 실험 참가자들에게 30건의 다른 열 자극을 가하면서 기능 자기공명 영상 촬영을 수행하였다. 연구팀은 자극을 가했던 전체 시간의 3분의 1 동안은 통증의 세기가 서로 다른 신호들을 혼합하였는데, 실험 참가자들은 일정한 온도를 가진 자극을 받았다고 생각하였지만 실제로는 높은 온도 또는 낮은 온도의 자극이 가해졌다.
실험 참가자들이 적당한 강도의 통증을 예상하였을 때, 실제로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진 열 자극이 가해졌는데 이들이 느꼈던 통증의 정도는, 이들이 높은 강도의 열 자극 통증을 예상하고 또한 실제로 높은 온도의 열 자극을 받았을 때보다 통증을 28% 덜 감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실험에 참가한 10명 모두 낮은 강도의 통증을 예상한 겨우 실제로 이들이 느끼는 통증 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수행한 Robert Coghill 박사는 “통증을 느끼는 것은 통증을 유발하는 신체 부위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는 각각의 개인마다 통증 신호와 전달되는 통증 정보를 자각하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느낀다. 따라서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은 단순히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 이외에 다른 무엇인가 존재한다. 통증을 자각하는데 뇌는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며 우리는 이에 대하여 보다 더 많은 것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라고 하였다.
SOUR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05;102:12950-12955
출판날짜 2005/09/06
정보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해외과학기술동향
(본 내용은 KISTI의 정보이용 승인을 통해 제공되며 저작권은 KISTI에 있습니다.)
연구팀은 자기공명 영상 촬영을 통하여 실험 참가자들의 뇌 활성 부위를 파악할 수가 있었는데, 우선 훈련을 위하여 실험 참가자들에게 30건의 다른 열 자극을 가하면서 기능 자기공명 영상 촬영을 수행하였다. 연구팀은 자극을 가했던 전체 시간의 3분의 1 동안은 통증의 세기가 서로 다른 신호들을 혼합하였는데, 실험 참가자들은 일정한 온도를 가진 자극을 받았다고 생각하였지만 실제로는 높은 온도 또는 낮은 온도의 자극이 가해졌다.
실험 참가자들이 적당한 강도의 통증을 예상하였을 때, 실제로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진 열 자극이 가해졌는데 이들이 느꼈던 통증의 정도는, 이들이 높은 강도의 열 자극 통증을 예상하고 또한 실제로 높은 온도의 열 자극을 받았을 때보다 통증을 28% 덜 감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실험에 참가한 10명 모두 낮은 강도의 통증을 예상한 겨우 실제로 이들이 느끼는 통증 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수행한 Robert Coghill 박사는 “통증을 느끼는 것은 통증을 유발하는 신체 부위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는 각각의 개인마다 통증 신호와 전달되는 통증 정보를 자각하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느낀다. 따라서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은 단순히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 이외에 다른 무엇인가 존재한다. 통증을 자각하는데 뇌는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며 우리는 이에 대하여 보다 더 많은 것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라고 하였다.
SOUR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05;102:12950-12955
출판날짜 2005/09/06
정보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해외과학기술동향
(본 내용은 KISTI의 정보이용 승인을 통해 제공되며 저작권은 KISTI에 있습니다.)
코멘트 0|조회 3,465

-
뇌가 골밀도 조절에 중요한 역할 2005-09-13 21:51
-
근육 통증 경감을 위한 냉각 및 온열 요법 2005-09-13 21:50
-
긍정적 사고 방식과 통증 자각
-
뇌의 노화와 관련된 단서 2005-08-19 11:50
-
중간엽 줄기세포와 가로무늬근 형성 기작 2005-08-19 11:47
문서평가/문서담당자

